자유게시판

하루 10분, 말문이 트이는 놀라운 변화! 52개월 언어 발달이 느린 아이와의 역할 놀이 전략

2 동네형 0 2 04.05 12:45

81804fb7ffef0ff8cd276ed1665eef33_1743824
52개월이 되면 일반적으로 유아의 문장 구성 능력과 사회적 대화 능력이 급격히 향상되는 시기입니다. 그러나 언어 발달이 또래보다 느린 아이라면 말수도 적고, 표현력이 부족해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아이들과 가장 효과적으로 소통하고 언어를 자연스럽게 확장시킬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역할 놀이"입니다.

최근 아동언어치료학회에서는 역할 놀이를 통한 상호작용이 언어 발달 지연을 보이는 아동에게 특히 유익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가정에서도 쉽게 실천할 수 있으며, 놀이 중심의 언어 자극은 아이에게 부담 없이 자연스러운 학습 환경을 제공합니다. 특히 2024년 개정된 언어발달 평가 기준에서는 아이의 일상언어 사용 상황을 중시하고 있어, 부모의 참여가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81804fb7ffef0ff8cd276ed1665eef33_1743824
역할 놀이가 언어 발달에 미치는 과학적 근거

역할 놀이는 아이가 특정 상황이나 직업을 상상하며 자신을 그 인물로 투영해 행동하는 놀이입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아이는 자발적으로 문장을 구성하고, 어휘를 반복하며, 사회적 언어 기술을 실습하게 됩니다. 특히 언어 발달이 느린 아이에게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첫째, 상황 설정을 통한 문장 연습이 가능해집니다. 예를 들어 “병원놀이”를 할 때 “어디가 아프세요?”, “약 드실 시간이에요” 같은 문장을 자연스럽게 말하게 됩니다. 둘째, 대화의 순서를 익히며 사회적 소통 기술을 기릅니다. 셋째, 감정 표현 및 이해를 도와 자기표현력을 향상시킵니다. 이 모든 요소는 언어의 네 가지 영역(화용, 의미, 형태, 음운)을 고르게 자극합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81804fb7ffef0ff8cd276ed1665eef33_1743824
역할 놀이의 추천 상황과 구성 예시

역할 놀이는 놀이 주제와 소품만 잘 선정하면 가정에서도 손쉽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일상에서 아이가 자주 접하는 상황을 중심으로 하면 더욱 몰입도가 높아집니다.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병원 놀이: 청진기, 붕대, 가짜 약통 등을 활용해 아이가 의사 또는 간호사 역할을 해보게 합니다.
  • 슈퍼마켓 놀이: 계산기, 상품 스티커, 바구니 등을 사용해 물건을 사고파는 대화를 유도합니다.
  • 소방서 놀이: 헬멧, 장난감 호스, 무전기 등을 이용하여 구조 상황을 연출합니다.
  • 동화 속 인물 되기: 이야기 속 등장인물의 상황을 재현하며 감정 표현 훈련도 가능하게 합니다.

각 역할 놀이 상황은 적절한 소품과 함께 스토리텔링이 가미될 때 효과가 극대화됩니다. 놀이 중에는 반복되는 문장이나 단어를 아이가 직접 말해보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81804fb7ffef0ff8cd276ed1665eef33_1743824
언어 자극을 위한 부모의 역할과 대화 방식

부모는 놀이 속에서 아이와 대화할 때 언어 자극을 의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존재입니다. 특히 언어 발달이 느린 아이라면 “대화 유도형 놀이법”을 활용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간호사 역할을 할 때, 부모는 “제가 다리가 아파요. 약이 있나요?”라고 질문하며 아이가 적절한 표현을 사용하도록 유도합니다. 아이가 짧게 “약!”이라고만 말하면, “네, 이건 다리 아플 때 먹는 약이에요. 한 번 드셔보세요.”라고 문장을 확장해주는 방식으로 반응해 주세요.

이와 같이 놀이 중 질문과 응답, 문장 확장, 재진술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이의 언어 체계를 확립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중요한 건 아이가 스스로 말해보고 표현하게끔 유도하는 것이지, 부모가 말의 주도권을 갖는 것이 아닙니다.

공식 가이드 확인하기

81804fb7ffef0ff8cd276ed1665eef33_1743824
52개월 아이의 언어 수준과 발달 체크리스트

52개월 아동은 평균적으로 4~6어절의 문장을 구성하며, 간단한 이유 설명과 자기 주장 표현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언어 발달이 느린 아이는 단어 수가 적고, 질문에 대한 응답이 단답형이거나 불명확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다음의 체크리스트를 통해 현재 아이의 언어 수준을 파악해볼 수 있습니다.

  • 하루 사용하는 단어 수가 300개 이상인가요?
  • 단순 문장(예: “엄마, 이거 줘”)을 2문장 이상 연결해서 말하나요?
  • 질문(“왜?”, “어디?” 등)에 반응하고 대답하나요?
  • 친구나 어른과 놀이하며 자기 생각을 표현하나요?

위 기준 중 2개 이상이 부족하다면 언어 지연의 가능성이 있으며, 역할 놀이 중심의 자극과 병행해 전문적인 평가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81804fb7ffef0ff8cd276ed1665eef33_1743824
언어치료 병행 시 가정에서의 놀이 확장 전략

언어치료를 받고 있는 아이라면, 치료실에서 배운 내용을 가정에서도 자연스럽게 확장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역할 놀이를 통한 연계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치료 시간에 “감정 표현”을 배웠다면, 가정에서는 인형 놀이를 통해 “이 인형은 왜 울고 있을까?”,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 등의 질문을 던지며 언어와 감정표현을 동시에 자극해줍니다. 이처럼 치료 내용과 연결된 놀이 방식은 학습 내용을 강화하고 일반화(Generalization) 능력을 기르도록 도와줍니다.

놀이 시간을 매일 10~20분으로 정해 꾸준히 반복하면, 언어치료의 효과도 훨씬 높아지며 아이의 자신감도 상승하게 됩니다.

81804fb7ffef0ff8cd276ed1665eef33_1743824
역할 놀이 후 반드시 해야 할 부모의 언어 피드백 방법

역할 놀이가 끝난 후에는 부모가 아이의 언어 사용을 되돌아보며 긍정적인 피드백을 해주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오늘 ‘환자’ 역할 정말 잘했어. ‘약 주세요’라고 정확히 말하는 것도 기억했구나!”처럼 구체적으로 언급하며 칭찬해 주세요.

피드백은 아이의 자신감을 높이고 언어 사용에 대한 긍정적인 기억을 남겨, 다음 놀이에서도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또, 아이가 놓친 문장이나 단어는 자연스럽게 부모가 바르게 말해주는 방식으로 교정이 가능합니다. 반복과 일관성을 갖춘 피드백은 놀이만큼이나 중요한 언어 자극의 도구입니다.


81804fb7ffef0ff8cd276ed1665eef33_1743824

*** 불펌 무단복제 이미지 캡쳐를 금지합니다 ***

, , , , , , , , ,

Comments